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3)
[Python] 내장함수 유용성 최근 파이썬의 내장함수를 공부한 사람으로 오늘 우연히 점프 투 파이썬의 간단한 코딩연습문제를 해결하던 중 별 거 아니지만 다시한번 내장함수의 유용성을 느꼈다 . ex) 다음은 A학급 학생의 점수를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다음 리스트에서 50점 이상 점수의 총합을 구하시오 .A = [20, 55, 67, 82, 45, 33, 90, 87, 100, 25] 다음은 책에 있는 모범풀이다. A = [20, 55, 67, 82, 45, 33, 90, 87, 100, 25] result = 0 while A: mark = A.pop() if mark >= 50: result += mark print(result) 어제 내장함수를 공부한 사람으로 이 풀이 보다 내장함수를 이용해 좀더 간단한 풀이가 가능하지 않을까 고민..
[Python] 내장 함수 : map(), filter() 파이썬에서는 더 편리한 코딩을 위해 내장함수들을 제공한다 오늘은 그 중 map()과 filter()함수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1. map() map()은 여러개의 데이터를 한번에 다른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이다 다음은 map()의 기본형식이다 map(변환하는 함수, 순회데이터) 2. filter() filter()는 여러개의 데이터중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해서 사용 할 수있는 유용한 함수다 다음은 filter()의 기본형식이다. filter(조건함수 , 순회데이터) 이로써 기본적인 함수의 사용법들을 알아봤다 그냥 이러고 말면 이것들이 어떻게 적용이 되는지 알방법이 없다 간단한 예제로 디테일한 설명을 이어나가겠다. ex) [1,-9,-10,-15,-18,-23] 리스트에서 1만 담겨있는 ..
[Python ] Lamda 함수 사용법 가장 공부 하고 싶었던 언어중 하나는 파이썬이다 개발자를 꿈꾸고 있는 학생 입장에서 나중에 취업 더 나아가서 역량 발전을 위해서는 자료구조 알고리즘 그리고 코딩테스트를 공부해야 할텐데 나는 요즘 대세 언어인 파이썬을 깊게 알고 싶은 욕심이 있다 그래서 2학기에 파이썬을 수강 신청해서 수강하고 있는데 문법 공부중 lamda함수를 알게 되었다 분명 후에 알고리즘 문제 풀이때도 써 볼수 있지 않을까 싶어 블로그에 정리해 본다 . lamda는 파이썬에서 def와 같이 함수를 생성할때 사용하는 예약어다 보통 함수를 한줄로 간결하게 만들때 사용을 한다 예시를 통해서 알아 보겠다. def is_odd(number): if number % 2 == 1: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